너무 그리우면
그립단 말조차
안나오는 법이다.
Adiós te digo, pero no me voy
me voy, pero no puedo decirle adiós
-tu cariño
(알고 계신진 모르겠어요.
cariño를 한국에서는 '앙증'이라고 한답니다!
바로 제 별명이지요. +_+ 푸하하)
사람들도 많고 큰 개도 많다. 무려 터미널 안 실내인데도 개가 많다.
이동하기로 마음먹은 날은 버스티켓이 매진돼 있었다. 덕분에 바릴로체에 예정보다 하루 더 묵어야 하는데 내가 묵는 호스텔에 방이 없었다. 묵었던 호스텔의 체크아웃 시간과 묵어야할 호스텔의 체크인 시간에 텀이 있길래 짐을 바리바리 싸들고 바릴로체 센트로에 앉아 있다. 탁트인 파란 하늘과 호수가 보이지만 마음이 따라주지 못한다. 내 옆에 놓인 배낭과 트렁크 덕분에 심정적으론 갈곳 없는 이민자의 심정. 흑흑
18일 금요일 날 같은 버스를 타고 헤어진 세이지를 마지막으로 며칠째 동양인 콧배기도 못보고 있다. 그토록 말하는 걸 좋아하는 낸가 한국말은 커녕, 짧은 영어로 근근히 살아가고 있다. 어젯밤 같은 방 프랑스 여자애에게 '신, 너 영어 하는 거 맞니?' 라는 굴욕을 당했지만 뭐 난 괜찮다. 괜찮아. 괜찮을거야 흑흑.
(생각하면 만난다고 방금 세이지와 마주쳤다.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가는 버스 시간이 얼마 안남았다고 센트로는 정말 발도장만 찍고 사라진다고 한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가면 깔라파떼에서 만났던 한국인들이 많겠지. 갑자기 엘찰뗀 버스 터미널에서 들었던 쓸쓸한 마음이 엄습한다. 에잇! 이 우울한 감정을 떨치기 위해 싸놓은 사과라도 먹어야겠다.)
오또 산으로 향하는 길
만세 만세! 그토록 소원하던 한국 사람을 만날 수 있었다.
말도 안 되는 투어가격을 아끼느라 여행안내소에서 대충 버스 노선을 묻고 빠뉴엘로 항구로 향했다. 유람선은 안타기로 마음 먹었으니까 그냥 항구 구경이라도 해야겠단 심정이 들어서 여기저기 서성이다가. 자리를 잡고 주저 앉아서 싸왔던 점심을 먹었다. 도시락을 먹을 때마다 점점 드는 생각인데. 내가 싸온 샌드위치는 참 맛 없다. 그냥 시중에서 사는 빵이랑 쥬스를 사마시는 게 나을 정도. ㅠㅅㅠ 그냥 아무 빵이나 사먹는 것보다 훨씬 진짜 훨씬, 맛이 없는데 계속 요리를 해야하는 걸까 커다란 의문이 든다.
여튼 간단하게 점심을 해결하고 돌아가기 위해서 20번 버스를 한 없이 기다리는데 저 멀리서 애정행각을 보이는 커플이 보였다. 제길 이놈의 남미 휴양지! 남녀만 있다하면, 부둥켜 있고 얽혀 있네! 속으로 외치며 당연히 나와 일말의 공통점 없는 서양 사람이겠거니 그들을 지나쳤다. 근데 갑자기 들리는 목소리.
“저기요,”
대체 며칠만에 들어보는 한글로 완벽 표기 가능한 언어인가? ‘꺄악’하는 호들갑을 떨면서 나는 둘의 손을 얼싸 잡았다. 그리고 우리는 함께 깜빠나리오 언덕으로 GOGO. 언덕에서 리프트를 타고 전망을 다 구경하고 난 다음에는 잠시 각자의 숙소로 돌아갔다가 다시 나오기로 했다.
다시 만난 언니 오빠는 자신들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 해주었다.
여*언니와 철*오빠. 직장에서 만나 결혼에 골인한 4년차 부부. 둘은 세계 일주를 목표로 한국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둘이 여행을 떠나게 된 동기는 우연히 보게된 BBC방송국의 다큐멘터리. ‘죽기 전에 꼭 봐야할 100가지’를 보고 정말 죽기전에 가봐야 겠단 생각이 들었다고.
“어느 날 내가 계산을 해봤어요. 한국에서 직장을 다니면서 운 좋게 휴가를 많이 얻어봐야 1년에 15일이 정도. 그것도 월차 같은 걸 눈치 안보면서 썼을 때 이야기더라고요. 운 좋게 직장이 망하지 않아서, 오래 한 직장을 다닌다고 쳐도 20년. 그럼 15(일) 곱하기 20(년)은 300. 1년도 안 되는 날짜예요.
그래서 우리 부부는 전세금을 빼서 딱 1년간의 휴가를 갖기로 했어요.”
그토록 긴 인생에서 딱 일 년. 전세금을 빼서 시작한 세계 여행. 하지만 주변에서 말리는 만류의 목소리도 많았다고 한다. 미쳤다는 소리도 많이 들었고, 무모한 용기 아니냔 소리도 많이 들었다고.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후회하지 않는 것이라고, 그게 바로 이 여행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거라고 언니와 오빠는 말해줬다.
한국에서는 어마어마하게 느껴졌던 1년이라는 공백. 하지만 인생은 길다. 수십번의 일년이 지나가기 마련이다. 그 수십번 중에서 1년도 짬내기 어려운 삶이란 무언가 고민이 든다.
떠나기 전 비행기에서 심심풀이로 읽었던 동물농장의 대사가 떠오른다. 동물농장에서 노예처럼 일하다 죽어가는 가축들을 일깨우기 위한 지도자의 말이었다.
“영국에서는 어떠한 동물도 태어나서 1년이 지나면 행복이나 여가란 말의 뜻을 모르게 됩니다. 영국에 있는 동물들에게는 자유가 없고 불행과 예속이 전부입니다.”
백여년 전. 당시 노동자들이 러시아 혁명을 일으킬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을 묘사하기 위해 쓰였던 저 문장이 나와 내 친구들이 살고 있는 삶의 모습을 그대로 그리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동행자가 있어서 더욱 씬나는 투어! 코지, 선화, 고모님